-
3. 가계순저축률경제 공부/경제용어 700선 2023. 4. 3. 13:49
저축률이란
( 저축액 / 순처분 가능 소득 ) * 100
'저축액'을 '처분 가능 소득'으로 나눈 비율을 말한다. 쉽게 이야기하면, 세금을 제외하고 개인이 쓸 수 있는 모든 소득 (순처분 가능소득) 가운데 재화와 서비스 이용 후 남은 금액 (저축액)의 비율을 이야기한다.
예를 들면, 나는 현재 100만원을 번다. 생활비, 교통비, 통신료를 제외하고 남은 금액은 10만원. 그렇다면 나는 10%의 저축률을 가지고 있는 셈.
가계순저축률이란
( 가계 순 저축액 / 가계 순처분 가능 소득 + 사회적 현물이전 금액 + 연금 기금의 가계순지분 증감조정액 ) * 100
가계부문의 '순저축액'을 '가계 순처분 가능 소득'과 정부로부터 받은 사회적 현물이전 금액, 연금기금의 가계순지분 증감조정액을 합계한 금액으로 나눈 비율이다.
여기서 많이 어려운 단어가 나와서 복잡해 보이는데,
첫번째로 사회적 현물이전 (social transfer in kind)이란 정부 등이 가계에 현물이전의 형태로 제공하는 재화 및 서비스다. 즉, 정부가 구입하여 싸게 제공하는 공공임대주택 혹은 무상교육, 보건소의 무료진료등이 이것에 포함된다.
두번째로, 퇴직연금과 같은 연금기금의 가계순지분 증감조정액을 합산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가계가 납부한 연금부담금(연금 낸 금액)과 연금수취액 (연금 받은 금액) 의 차액을 반영해야 가계 부분의 저축액을 더욱 정확하게 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가계순저축률은 가계부분의 저축성향을 가장 잘 나타내주는 지표입니다.
제1인 가구 가계순저축률을 아직 안 좋은 상태입니다 ㅠㅠ 앞으로 노력해야겠지요
출처: 한국은행 경제금융용어 700선 2023
'경제 공부 > 경제용어 700선'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가계신용통계 (0) 2023.04.05 2. 가계수지란? (0) 2023.03.30 1. 가계 부실 위험 지수란? (0) 2023.03.22